본문 바로가기

시사 경제

(문화의 가치3) 중국의 문화공정, 중국 문화 뺏기

1. 중국 문화공정 사례

중국은 동북공정으로 역사 뿐만 아니라 문화까지 자기들 것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것을 문화공정이라고 합니다. 특히 최근에는 한복을 자기들의 옷이라고 우기기 시작하였습니다. 2020년 한복은 중국의 옷을 표절한 것이라고 중국SNS를 통해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심지어 2022년 하계 베이징 올림픽 당시 한복을 입은 사람이 중국 국기를 들고 입장하기도 하였습니다. 그리고 2010년대에 들어 중국 사극 드라마에서 한복을 자주 등장시켜 대중들에게 한복이 자기들 옷이라는 것을 인식 시키고 있습니다.

그리고 방송, 콘텐츠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나라가 만든 프로그램을 표절하여 방영하고 있습니다. 심지어 상표까지 표절하고 있다고 하니, 정말 기가 막힐 노릇입니다.

그리고 김치도 중국 것이라고 합니다. 김치의 원조는 파오차이라고 말하며 김치는 중국의 전통음식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중국 대중들은 오히려 우리나라가 문화 공정을 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잘못된 정보가 이러한 일을 만들게 하고 진실을 숨기는 것 같습니다.

 

 

2. 중국은 왜 문화 공정을 하는가?

우선 우리나라 한류를 받아들여 중국의 소프트파워를 증진시키 위함이 있다고 합니다. 중국은 현재 미국과 패권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모든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일을 펼치고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문화를 통한 소프트파워를 키우는 것입니다. 이미 검증된 한국의 문화 콘텐츠를 통해 중국의 문화적 영향력을 높이기 위한 발판으로 사용할 것입니다.

그리고 잘못된 정보를 통해 한국이 오히려 중국의 문화콘텐츠를 훔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것을 통해 공산당의 입지를 올리고 내부 결집을 하게 만듭니다. 중국 국민들의 애국심을 올려 국가체제 유지를 위한 도구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조선족 흡수를 통한 한반도 흡수라는 큰 목적이 있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남한 까지는 아니더라도 북한을 흡수하는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사실 가능성은 거의 없어 보이지만, 이것 또한 크게 보면 정권 유지의 목적이 있습니다. 한반도 흡수라는 명목을 통해 공산당의 유지를 목표로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출처: 픽사베이

 

3. 대응방법

중국 정부는 문화의 가치를 잘 알고 있고 그것을 활용하기 정말 온갖 노력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문화공정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우리 국민들의 관심이 가장 중요합니다. 우리 국민들이 우리 문화를 잘 알고 이것을 전 세계에 잘 알린다면 중국이 아무리 노력해도 우리 것을 확실하게 지킬 수 있을 것입니다.

동북공정 논란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렇기에 역사를 꾸준히 배우는 것이 중요하고 교과과목에 무조건적으로 넣어야 합니다.

우리나라 문화 산업을 육성해야 합니다. 우리가 만약 문화를 발전시키지 않는다면 중국 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에게도 문화가치를 빼앗길 수 있습니다. 우리 모두가 함께 노력하고 발전시키고 홍보를 잘 한다면 우리 나라의 문화 뿐만 아니라 소프트 파워는 강력해질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