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수에즈 운하
수에즈 운하는 전 세계물동량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지중해와 홍해를 잇는 이집트의 운하이며 1869년에 완공되었습니다. 지리적으로 보아도 수에즈 운하가 없으면 유럽과 아시아를 오고 갈때에는 아프리카를 돌아가야합니다.
즉, 희망봉을 거쳐서 가야합니다. 런던에서 뭄바이의 경우에는 수에즈 운하를 거쳐서 가면 41%의 거리가 단축됩니다. 홍콩과 런던을 왕복할때에는 26%의 거리가 단축된다고 합니다.
고대 이집트 시절부터 운하를 만드려고 하였으나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웠습니다.
그러나 근대에 와서 프랑스 기술자 페르디낭 마리드 레셉이 1859년 4월 25일 포드 사이드에서 기공식을 한 지 10년만에 개통되었습니다. 지중해와 홍해 사이 164km를 뚫은 것으로 꽤나 긴 거리였습니다.
그 당시 이집트 총독인 사이드 총독은 르셉에게 설득당하여 운하 건설에 허가를 내주게 됩니다. 자금은 프랑스가 빌려주고 노동력은 이집트에서 제공한다는 조건이였습니다. 건설과정에서 수십만명이 노동에 동원되었고, 수천명이 열악한 작업환경속에서 목숨을 잃었습니다.
결국 개통이 되었지만 생각보다 더 많아진 공사비용으로 이집트는 재정난에 힘들어했습니다. 그리고 생각보다 운하 이용선박이 적었습니다.
결국 이집트는 재정 파탄상태에 들어가게 되었는데, 이때 영국이 부채 탕감의 조건을 내세우면서 영국은 수에즈 운하 운영권을 확보하였습니다.
그 이후 이집트는 1956년 수에즈 운하를 전격 국유화를 하였고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이 이집트를 공격하면서 제2차 중동전이 발발 하였지만 미군의 개입으로 이집트는 수에즈 운하를 지킬수가 있었습니다.
2. 수에즈 운하의 경제적 가치
수에즈 운하는 역사적으로도 많은 열강들이 관심을 보였습니다. 그말은 그 만큼 돈이 된다는 것을 뜻합니다.
2021년 수에즈 운하가 막혔을때, 전 세계가 관심을 가지고 보았던 경험을 하였습니다. 수에즈 운하가 우리 세계물동량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원유가 하루에 180만 배럴이 통과되고 이집트 GDP의 3.4%에 해당될 정도로 경제적으로 큰 기여를 하고 있는 수에즈 운하입니다.
그리고 전 세계 해상 운송의 8%가 수에즈 운하를 통과하며 2021년 에버기븐호가 수에즈 운하를 막았을때 손실이 약 10억달러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수에즈 운하가 없으면 우리 전세계의 글로벌 공급망의 차질이 생길것입니다. 하루에 약 50척이상이 수에즈 운하를 통과하고 있어 상당량의 물동량이 움직입니다.
그리고 희망봉으로 돌아갈 경우 그만큼 운송비가 늘어나기에 전 세계 물가를 올릴 수도 있습니다.
최근 예멘 반군들이 홍해 근처에 나타나는 상선들을 공격한다는 이야기가 나와 많은 선사들이 수에즈 운하로 가지 않고 희망봉으로 돌아간다는 기사가 나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일들이 발생하면 손실은 우리에게 다 올것이며 비용을 감당해야 됩니다.
이러한 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전 세계가 나서서 상선을 보호하고, 원활하고 신속한 물동량 공급을 위해 노력해야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