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경제

(주 4일제 장점과 단점) 우리나라는 주 4일제를 성공 할 수 있을까?

 

1. 주 4일제 근무제도와 우리나라 근무제도 역사

4일제 근무제도는 월, , , , 금중 하루를 지정해서 쉬는 형태로 운영됩니다. 아직까진 우리나라에서는 주 4일제 근무제도가 아닌 주 5일제 근무제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5일제 근무제도는 1908년 미국 뉴잉글랜드에서 유대인들의 안식일을 위해 토요일에 쉬던 것이 발전하여 1938년에 법령으로 지정되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는 주 5일제가 운영된지 그렇게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지는 않습니다. 20024월 일부 정부부처에서 시범적으로 운영이 되었고, 20027월에는 모든은행, 20053월부터 모든학교에서 시행이 되기 시작했습니다. 그 당시 유행했던 말 중에 놀토라고 있었습니다. 뜻은 노는 토요일이라는 뜻이고 매주 토요일에 쉬는 것이 아닌 2주에 1, 한달에 1회 였습니다.

20117월이 되어야 5인 이상 사업장에서 토요일에 쉴수 있는 권한을 부여 받았습니다. 그 당시에 주 5일제를 하면 기업의 경쟁력이 떨어진다라는 말들이 많았지만 현재 보시다시피 성공적으로 주 5일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2. 4일제 장단점과 쟁점

4일제도의 장점으로는 개인시간 확보입니다. 5일제 보다 하루를 개인적인 삶에 투자를 할 수 있어 시간적여유를 가지게 될 것입니다. 이로 인해 개인의 행복과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다주며, 워라벨을 맞출 수 있는 최적의 근무 제도입니다.

직장인 분들이라면 공감하시겠지만 개인 삶에 긍정적인 영향이 직장으로까지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개인 정비를 잘하고 오면 직장에서도 항상 밝은 에너지를 통해 효율적인 업무 처리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단점으로는 우리나라 모든 사업에서는 주 4일제 도입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합니다. 만약 한다고 하면 운수, 교통 등에서 일하시는 분들이 쉬어야하기에 우리의 삶이 불편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우리가 고용인일때는 굉장히 좋은 제도 같지만 고용주로 되었을때는 정말 마음에 들지 않는 제도일 것입니다.

 

그리고 주요 한가지 쟁점으로는 주4일제로 변화할 경우 급여를 그 만큼 삭감을 시켜야 할것인가에 대한 문제점이 나타납니다. 그리고 생산성에 대한 문제입니다.

급여가 100이면 주 4일제 근무시간은 80으로 변화됩니다. 생산량이 100되면 급여가 동일해도 괜찮겠지만, 100 : 80 : 80이 되어버리면 급여는 고용주에 의해 삭감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급여와 생산성은 향후 지켜보아야할 문제입니다.

 

출처: 픽사베이

 

3. 4일제도가 성공 할 수 있을까?

4일제도가 많은 사람들에게 관심을 받고 있지만 확실하게 효율적이라는 말을 하지는 못합니다. 결과는 그 누구도 모르기 때문입니다.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100 : 80 : 100이면 괜찮겠지만, 100: 80 : 100이하로 되는 순간 비효율적이라고 생각을 할 것입니다.

우리나라에도 여러 사례가 있습니다. 에듀윌, 휴넷 등 보통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회사입니다. 산업 구조마다 조금씩 다르겠지만 주 4일제도에 적합한 산업이 있고 부적합한 산업이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현재 정서로 보면 공무원들이 주4일제가 된다고 하면 생산량을 따지지 않고 무조건적으로 급여를 낮추라고 할 것입니다.

4일제를 반영하기에는 아직 정서와 산업구조가 확립이 되지 않은 상황인 것 같습니다. 5일제 도입과 마찬가지로 다양하게 적용을 해보고 사회적 합의가 필요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