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경제

(코로나 키즈) 우리 아이 언어발달이 느린이유와 해결책 (부모의 감정교류가 절실하다.)

 

1. 코로나 키즈: 아이들이 말하지 않는 이유

 

코로나19는 2020년부터 우리사회를 덮어왔습니다. 이로인해 우리 사회는 많은 변화가 있었고, 변화는 우리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아이들도 예외가 아니였습니다. 코로나19 기간 동안 영유아 발달 상태도 변화하였습니다. 서울시 대한 소아 청소년 정신의학외 발표자료에서는 정상발달은 52%밖에 되지 않았고, 발달의 어려움은 48%나 되었습니다.

 

5세 이하 언어지연 진료 경험자가 코로나19 이전 보다 30%이상 증가한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왜 이런일이 발생했는지 알아보자면, 코로나19 시기에는 아이들이 집안에서 머무는 시간이 꽤 길어졌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전염병 예방을 위해 외부 접촉을 최소화하였고, 이로 인해 제한적인 삶을 살게 된것입니다. 

제한적인 삶은 아동 발달에 부정적 역할을 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코로나19 이후 학교에 정상등교를 하여도 마스크를 사용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마스크로 인해 입모양을 볼 수 없었고, 사람의 표정마저 정확하게 볼 수 없었습니다. 이로 인해 사회적 언어를 배울수 있는 기회가 매우 적어졌습니다. 언어 발달의 지연으로 인해 인지능력 정도도 매우 떨어졌습니다.

 

이 문제는 우리나라만의 문제는 아닙니다. 미국, 남미, 유럽 등 모든 나라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사실입니다. 

 

말도 느리고, 언어의 연결도 부적절하며, 문맥에도 맞지 않는 말을 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EBS 다큐멘터리 책맹인류에서는 의사소통을 하기 위한 순서가 있다고 합니다. 눈을 맞추고, 소통을 하면서 정서를 담당하는 본능의 뇌가 발달해야 인지의 뇌가 발달한다고 합니다. 인지의 뇌가 발달해야 언어능력이 발달한다고 합니다.

 

미디어는 일방 소통의 대표주자 입니다. 미디어에 노출이 되면 정서적 소통이 전혀 되지 않습니다. 상호작용이 없어, 언어발달에 전혀 도움이 안된다고 합니다. 

코로나19 시기에는 미디어 사용량이 크게 증가하였고, 아이들에게도 영향을 미치게되었습니다. 

 

언어 발달을 위해서는 우리가 어떻게 해야 좋을지 알아보겠습니다.

 

출처: 픽사베이

 

2. 언어발달을 위해 부모로서 역할 

 

영유아 시기에는 발달이 엄청나게 빠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고 합니다. 뇌 신경망 발달이 가장 빠른 36개월까지가 골든타임이라고 말합니다. 

그 시기가 지나고 난 뒤 언어자극을 주어도 발달이 느릴 수 밖에 없다고 합니다. 

 

가정 언어 환경이 중요합니다.

우선 언어의 양을 늘려야 된다고 합니다. 운동과 마찬가지고 연습량 자체가 많아야 합니다. 말을 걸어주고, 아이들과 대화를 많이 하는것이 기본 베이스가 되어야합니다.

그 이후 언어의 질입니다. 부모가 일방적으로 언어를 아이들에게 주입시키는것이 아닌, 의사소통을 하면서 언어를 전달해야된다고 합니다.

책을 읽어줄때, 책을 그냥 읽어주는 것이 아닌 책을 통해 대화를 이끌어 내어야 합니다. 책은 단순 도구로서 활용해야합니다. 

예를 들면 책을 읽어줄때, 책을 함께 보면서 책속에 나와 있는 내용에 대해 아이와 대화를 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서로의 감정을 만져주어야 합니다. 

아이에게 관심을 가져주고 아이가 하는말에 개입하기 보다는 경청하고 호응을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문맥에 맞지 않는 말을 하는 경우에도, 호응을 해주고 같이 대화를 해주셔야 합니다. 

 

몇몇 부모들은 일반 대화에서 조차 아이에게 가르치려고 합니다. 대화를 할때에는 가르치는 것이 아닌 의사소통, 감정교류를 우선시 해야하며, 눈을 마주치면서 이야기를 해야합니다. 

 

대화하고 같이 놀때는 질문은 적게하고, 대꾸는 많이 해주어야합니다. 그리고 아이의 대답을 10초이상 기다리고 책을 읽을때는 상호작용하면서 읽어주어야 합니다.

 

영국도 언어발달 지연 아동이 팬데믹 시기에는 15%이상 증가하였다고 합니다. 그래서 영국은 교육부 차원에서 지원을 해주고 있으며, 여러 기관들을 통해 아이들에게 언어와 인지능력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언어발달과 인지능력이 향상되어야 아이들의 사회성이 확립됩니다. 

우리의 미래인 아이들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교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도 곧 아이가 태어나는데, 감정 교류를 위해 지금부터 조금씩 대화하는 법을 익혀야 될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