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

(Chat GPT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 Chat GPT 1회 검색 전기세는 얼마일까?

 

1. Chat GPT?

GPT는 대화형 인공지능입니다. 개발사는 Open AI이고 사용자는 현재 2억명에 달하고 있습니다. 부분유료화인데 부분 유료화를 사용하는 사람은 약 100만명으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채팅을 하듯 챗봇이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하는 형식으로 갖추어져 있으며 완벽한 답변을 기대하기 보다는 관련된 정보를 받고 이와 같은 창작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Chat GPT가 나오면서 AI시대를 도래했다고 볼 수있으며 AI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Chat GPT는 현재까지 보기 어려웠던 퀄리티를 내재하고 있어 사회에 큰 변화를 가져다 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기술력의 문제인지는 모르겠으나 많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가장 큰 한계점은 거짓정보를 매우 그럴듯하게 답변합니다. 이러한 거짓정보는 사람들이 피드백을 하면서 고쳐지겠지만 아직까지는 이러한 것들이 매우 많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도 Chat GPT는 확실히 우리를 새로운 세계로 인도했다고 평가 할 수 있습니다.

 

 

2. Chat GPT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미국 MIT 테크놀러지 리뷰에 따르면 AI에 대한 비판적인 의견이 나왔습니다. 구글 검색의 경우 한번 검색하는데 0.0003킬로와트시(kwh)의 에너지가 들어간다고 합니다. 이럴 경우 300mg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된다고 합니다.

구글에서는 초당 4만개 연간 13000억회검색이 발생하게 연간 40만톤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된느 것입니다.

 

반면 Chat GPT는 구글의 검색 보다 4~5배가 많은 작업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Chat GPT 훈련과정에서 1287MWH전기를 소비한다고 합니다. 이로 인한 탄소배출 추정치는 502톤입니다.

더 나아가 인공지능 훈련에는 에너지 뿐만 아니라 물 소비량도 매우 높습니다. 컴퓨터 서버가 가동 될 때 어마어마한 열을 식히기 위한 것이라고 합니다.

미국 리버사이드 콜로라도대와 앨링턴 텍사스대 연구진은 Chat GPT와 한번 대화하는데 물이 500ml가 소비 된다고 발표하였습니다. 1회 대화는 질문과 답변을 25개 주고 받는걸 기준으로 한 결과입니다.

 

단순 웹사이트 검색 보다는 Chat GPT가 더 많은 에너지와 물이 사용되어짐을 알고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출처: chat gpt 사이트

 

3. Chat GPT 1회 검색 비용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가 “Chat GPT가 하나의 답변을 만들어 내기까지 수 달러가 든다.”라고 말하였습니다. 그 이유는 컴퓨터 비용 막대하기 때문이라고 밝혔습니다.

고도의 복잡한 연산이 들어가야하며 이를 수행하기 위해 막대한 전력이 필요로 하게 됩니다. 이러한 소비감축과 비용절감을 위해 현재 AI회사들은 어마어마한 노력을 벌이고 있습니다.

Chat GPT1회 검색당 약 2센트라고 합니다. 25원 정도로 볼 수 있지만 10억명이 검색을 하면 250억이 됩니다. 이러한 지출을 막기 위해 유료화 전환 및 발열이 적은 AI를 만들기 위해 전세계가 노력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