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경제

(술의 경제학3) 우리나라 전통 주류의 세계화 (소주, 맥주, 막걸리?) 1. 우리나라 전통 주류 우리나라 전통 주류의 종류는 생각보다 다양합니다. 항상 이러한 것을 나눌때는 기준이 필요한데, 구체적으로 들어가기에는 제가 전문가는 아니여서 우리가 인식하고 있는 전통 주류에 대해서만 말씀 드리겠습니다. 전통주등의 산업진흥에 관한 법률과 주세법에 따른 법률에 전통주는 너무 법률에만 의거한 내용이라서 너무 어렵기도하고 이해하기도 애매한 부분이 있어서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전통주류라는 것은 우리나라 문화에서 즐겨 마셨던 주류를 말하는 것이고, 이러한 주류 문화가 정착화 된것을 뜻합니다. 우리나라 대표역사서인 삼국사기, 삼국유사에도 술과 관련된 기록이 있고, 몇몇 유적에서도 술과 관련된 유적이 발견되었습니다. 대표적으로 우리나라 삼한시대에 영고나 동맹 등 추수가 끝날시기에 제천행사에.. 더보기
(술의 경제학2) 주류 시장의 가치는 얼마인가? (술 시장) 1. 우리나라 주류 시장 현황 최근 우리나라 주류시장의 트렌드는 확실하게 다변화하고 있습니다. 우리 아버지시대에는 소주, 맥주, 막걸리가 소비의 주측이 되었다면, 현재는 위스키, 와인 등 다른 형태의 주류가 소비를 부추기고 있습니다. 2022년 우리나라 주류시장이 처음으로 10조원을 돌파하였고 주류 문화도 많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술집, 주점 등에서만 많이 마시던 술들이 최근에는 홈술, 혼술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마시는 문화도 많이 변화하였습니다. 우선, 우리나라 주류시장이 가장 많이 바뀐 이유는 위스키 열풍입니다.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에 따르면 2023년 위스키 수입량은 전년도 보다 35%이상 증가하였다고 합니다. 특이하게도 전통적인 위스키인 스코틀랜드, 유럽, 미국의 위스키 뿐만 아니라 새로운.. 더보기
(술의 경제학1) 우리는 왜 술을 마시는가? (인류는 술과 함께하였다) 1. 술이란? 우리가 술을 마시는 이유에 대해 말씀드리기전에 술에 대한 정의가 필요합니다. 술은 에탄올이 함류된 음료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주세법에 의해 관리가 되고 있는데 이 법에서 주류는 "희석하여 음용할수 있는 에틸알코올을 말하며,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어서 직접 음용할 수는 없으나 정제하면 음용할 수 있는 조주정(粗酒精)을 포함한다."라고 표현해두었습니다. 그리고 알코올분 1도 이상의 음료 및 대통령령으로 정하는것이라고 나와있습니다. 여기서 또 궁금한것이 생기는데, 알코올분에 대한 설명은 그 아래에 나와있습니다.알코올분이란 전체용량에 포함되어 있는 에틸 알코올(섭씨 15도에서 0.7947의 비중을 가진거)이라고 합니다. 법적인 측면에서 술을 뜻하는 것이였고, 그냥 편하게 생각하면 현재 판매되고 있는.. 더보기
(기술발전과 교육의 관계) 대학은 왜 변해야 하나? - 교육이 변화해야하기 때문이다. 1. 기술발전과 교육의 관계 우리 사회는 기술이 끊임없이 발전되고 새로운 기술들이 나날이 나오고있습니다. 이러한 기술 발전을 통해 우리의 삶은 편리하게 변화하였으며, 우리 육체의 편안함을 위해서 누군가가 노력하고 과학분야를 더욱 활성화 시키고 있습니다. 오늘날 기술은 일반인들이 상상을 할 수 없었던 분야를 만들어냈습니다. AI, 빅데이터 등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나왔고 이를 100% 활용하기에는 매우 어렵습니다. 과거에는 프로그램을 운영, 작동 하는 것에 대한 교육을 받았었더라면, 현재는 프로그램을 통해 답을 도출해내고, 그 답을 통해 융복합을 해야하는 단계까지 왔습니다. 예를 들면, 주택시장 가격 추이에 대한 빅데이터를 가지고 인구학적것과 더불어 환경적인 요소 변화에 대한 답을 내릴 수 있어야 .. 더보기
(중국의 위기3) 중국의 경제보다 정치가 더 위험하다 (정치가 경제를 망친다) 1. 중국 정치체제 중국은 우리나라나 미국 같은 민주주의 정치체제가 아닌것은 모두가 알고 계실겁니다. 중국은 사회주의와 공산주의에 입각한 정치체제를 구성하고 있으며 일당 독재 국가입니다. 물론 야당도 있다고는 하지만 형식만 갖추어 놓은 상황입니다. 사회주의와 공산주의가 같은말이라고 하실지 모르겠지만, 조금은 다릅니다. 깊게 들어가면 설명이 굉장히 길어지기 때문에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사회주의는 정치적으로 대립되는 경향이 있고, 공산주의는 경제적으로 대립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사회주의와 자유주의 대립, 공산주의와 자본주의의 대립입니다. 또 다른 측면으로 볼 수 도 있지만 길어지기 때문에 다음번에 정확하게 정리해서 포스팅해보겠습니다. 정치, 경제로 분리해서 보는 것이 저에게는 가장 이해가 잘 되는 부분이였습니.. 더보기